▶다문화사회 :: 한국장학재단 :: 다문화멘토링이란 :: 멘토링 시작
<멘토와 멘티의 관계: 사전학습>
멘토와 멘티는 학습,진로,상호간의 관심과 사랑을 소통하는 관계입니다.
그러나, 멘토가 소통의 매개가 되어주기는 쉽지 않지요.
학생들이 쉽게 마음을 열지 않고,
가치관이나 사고방식이 달라서 의사소통이 어렵습니다.
멘토링의 기본전제: 소통
서로 존중하며 성실하게 대한다면 좋은 관계를 맺을 수 있고
서로 존중하는 관계를 통해 학습지원 및 정서지원이 가능합니다.
<멘토링방법 알아보기: 수업시작>
멘토링은, 1:1 수업이기 때문에 집중 시간이 학교 수업보다 짧습니다.
따라서 학습시간 20분 뒤에는 기분전환 시간을 갖는 것이 좋으며
공부에 집중할 수 있는 학습 장소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1) 멘토링 시작 : 만남
만남 후 10분정도 이야기를 나눔.
>멘토는 멘티 일과를 상상해서 질문을 미리 생각해야한다.
시작할 때 퀴즈나 게임으로 흥미를 유발
>좋은 방법이지만, 멘토링 전체 시간을 고려하여 진행해야 한다.
-경청을 통해 새로운 질문들이 나와야 대화를 깊이 있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멘티가 멘토의 생활과 관련된 질문을 하면 성실하게 대답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너무 사적인 질문은 주의를 요한다.)
2) 숙제나 약속을 어겼을 때:
-약속을 지키기 어려웠는지 이유를 확인해봅니다.
-규칙을 수정해야 할지 물어보고 경청합니다.
3) 지난 시간 학습 내용 및 과제 점검
-오늘은 무슨 공부를 할 것인가?
-몇시까지 하고 쉴 것인가?
-교재는 무엇으로 할 것인가?
-학습 목표는 무엇인가?
4) 학습이 끝나고
-학습 내용을 정리하며 느낀점을 간단히 나눕니다.
-학습 내용에 대한 편안한 질문과 대답의 시간을 가집니다.
-다음시간에 배울 내용을 확인합니다.
<멘토링방법 알아보기: 수업,학습지원>
1)한국어 수업 시 핵심 포인트
-소리 내어 읽기, 시 또는 동화 암송을 통해 언어 능력을 증진시킴
-즐거운 학습을 위해 단어카드, 손가락인형 등 학습자료를 제작하여 활용
-개별 단어 사용보다는 완전한 문장을 통해 단어를 익힐 수 있도록함
-동요, 속담, 전래동화 등을 통해 역사상식이나 문화에 익숙하도록 함
-독서와 독후활동을 활용함
2) 독후 활동 방법
-감동 깊었던 장면이나 말 3가지 적어보기
-책 속 주인공에게 편지쓰기
-내용이나 느낀 점으로 만화 그려보기
-등장인물 중 상 또는 벌 주고 싶은 사람과 이유를 적어보기
3)한국어 학습 참고자료
4) 수학 핵심 포인트
멘티가 수학을 어려워 할 때,
수학적 사고력이나 이해력이 부족한 것인가?
지문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것인가?
관찰을 통해 파악하기
5)수학 학습 방법
-지문을 끊어서 생각해 보기
-단서가 되는 중요한 단어에 밑줄을 치고 생각하기
-일반 수식형의 문제를 문장체로 바꾸어 풀어보는 연습하기
-같은 문제를 여러 번 반복해서 풀면서 익숙해지기
6) 수학 학습 참고자료
www.basics.re.kr/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기초학력향상지원사이트
7)기타 : 사회, 역사 부문
※멘티의 다문화적 배경에 주의해야 합니다.
예시
3·1운동, 광복절, 독도문제
>일본 문화적 배경을 가진 멘티에게 주의를 기울여야함.
삼별초 항쟁
>몽골의 문화적 배경을 가진 멘티에게 주의를 기울여야함.
[캡쳐영상: 한국장학재단, 국가평생교육진흥원, 하나금융그룹 '다문화징검다리 교육프로그램']
한국장학재단 우수나눔지기 1기 강지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