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지식정보의공간 :: 뉴욕지하철 공공도서관::The Underground New York Public Librar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4. 3. 6. 22:22
뉴욕지하철 공공도서관을 알고 계시나요?
이름만들으면, 최근 들어 우리나라에 많이 보이는 스마트 도서관과 비슷한 것이 아닐까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뉴욕 지하철 공공도서관(이하 UNL)은 조금 그 의미가 다릅니다. ‘무인소규모도서관’의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UNL은 'sns를 이용한 책 캠페인'의 성격이 더 강합니다. UNL은, 사진작가이면서 스토리텔러인 Ourit Ben-Haim이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입니다.
뉴욕 시의 지하철에서 책을 읽는 시민들의 모습을 찍고 그들의 모습을 그들이 읽고 있는 책의 정보를 사진과 함께 본인의 페이스북을 비롯한 sns계정과 홈페이지에 올립니다. 책의 정보가 있는 칸 밑에는 BORROW와 READ 버튼이 있습니다.
BORROW 버튼을 누르면 책을 대출할 수 있는 근처의 가장 가까운 도서관의 홈페이지로 연결이 되고
READ 버튼을 누르면 해당 책을 구입할 수 있는 온라인 페이지로 연결이 됩니다.
BORROW버튼을 눌렀을 때 화면입니다.
저는 한국에 있으니 당연히 제 위치를 찾을 수 없겠죠?^^
READ버튼을 눌렀을 때 화면입니다. 아마존 페이지로 이동이 되었네요.
구체적인 가격과 킨들전용 전자책, 하드커버 제작본, 일반본 등 다양하게 구입할 수 있습니다!!
모든 지하철에 통신사 전용 와이파이가 설치된 한국과 달리
미국에서는 비교적 최근 들어서 산발적으로 지하철에 와이파이가 설치되고 있습니다.
그 또한 구글이 설치해주는 것이라고 하네요. 정말 무시무시한 기업입니다.
지하철에 타면 휴대폰을 바라보기 바쁜 우리에게
현재를 돌아볼 수 있는 계기가 되는 캠페인인 것 같습니다.
아쉽게도 작년부터 Ourit Ben-Haim의 행방이 묘연한 관계로
더 이상의 글과 포스팅은 올라오지 않습니다.
그의 sns 계정 또한 마찬가지로 멈춰있습니다.
빨리 돌아와서 프로젝트를 지속적으로 운영해달라는
팬들의 요청 또한 줄을 잇고 있습니다. 정말 멋지네요^^
저희 아몬드나무 또한 이런 재미있는 프로젝트를 이어나갈 것을 약속드립니다. :)
사진출처: http://undergroundnewyorkpubliclibrary.com/
'사회에 관심을 가지며 > 지식정보의 공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식정보의공간 :: 청년창업 :: 브랜드 프라이탁, 홀스티, 로우로우 (0) | 2014.04.05 |
---|---|
▶지식정보의공간 :: CSR의 이해 ① - 이해관계자정의 :: 기업의사회적책임 (0) | 2014.03.23 |
▶지식정보의공간::SNS관리방법 :: 페이스북 게시글 홍보 후기 (0) | 2014.03.06 |
▶지식정보의공간:: TED :: 크리스도우니 - 시각장애인을 포용하는 디자인 (0) | 2014.02.27 |
▶지식정보의공간:: TED :: 명사들이 말하는 "행복" (0) | 2014.02.20 |
- Total
- Today
- Yesterday
- 기초노령연금
- 핑크프레임
- 한국휠체어기증본부
- 인증요건
- 카카오톡에러
- 사회적기업 정의
- 도색
- 지원방안
- 아몬드나무
- 휠체어바퀴
- 사회적경제
- 컬러프로젝트
- SNS관리
- 휠체어튜닝
- 지원내용
- 사회적기업
- 사회적기업의 개념
- 복지정보
- 사회적기업 인증요건
- 지식정보의공간
- 생활건강정보
- 카카오톡에러원인
- 서비스디자인
- 나는당신의꿈
- B500
- 나는당신의 꿈
- 고용노동부
- 카카오톡
- 사회적경제지식
- 마포가온장에인자립센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