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을 보면 아직도 미세먼지가 뿌옇게 둥둥 떠다니고 있는데요~ 연이은 뉴스보도와 간간히 내리는 빗줄기에도 미세먼지가 사라지지 않으면서 황사처럼 '지나가겠거니'생각했던 사람들도 미세먼지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습니다. 이전포스팅에서 미세먼지가 무엇인지에 대하여 알아보았는데요~ [ 미세먼지란 무엇인가? 포스팅 바로가기 ] 이번에는 이러한 미세먼지에 대한 관심추이와 연관검색어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자료: 네이버트렌드, 2013.12.9기준] 먼저 최근 3달 간 네이버에서 ‘미세먼지’를 검색한 빈도를 살펴보면, 11월 중하순경에 유의미한 증가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언론에서 보도함에따라 사람들이 처음 관심을 갖고 네이버를 통해 검색을 하기 시작하는 시점입니다. 두 번째로 12월 초를 기..
카카오톡 에러 2013년 12월 9일 아침, 카카오톡 에러 카카오톡이 에러가 발생하여 전송이 되지않고있다. 2013년 12월 9일 아침 8시 30분 부터 시작 된 이 오류는 KT회선관련 문제라고 하나 아직 정확하게 밝혀진바가 없다. 2013.12월 9일 아침 9시10분 현재 네이버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는 카카오톡이 점령한 상황이다. 처음에는 PC버전의 오류라고 보도가 나오기 시작했지만 스마트폰으로 확인결과 역시나 오류가 진행되고있었다. [사진출처:파이낸셜뉴스] 현재 신문사들도 일제히 카카오톡 에러를 보도하고있는상황이다 카카오톡에러 원인에 대한 설명은 아직 발표되지 않고있다. 카카오톡 공식페이지 공지사항에는 9시14분 현재 아무런 공지도 없는 상황이다. [9시 18분, 아직도 전송이 되고있지않는상황이다. ..
유해물질이란? 유해물질이란, 사람의 건강 또는 생활 환경에 피해를 일으킬 우려가 있는 물질을 말합니다. * 일본의 경우, 시행중인 대기오염 방지법에서 물체의 연소, 합성, 분해등의 처리에 따라 발생하는 물질 중 카드뮴 및 그 화합물, 연소및 연화수소, 플루오르, 플르오르화수소 및 플루오르화규소, 납 및 그 화합물, 질소 산화물로 규정하고있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유해 물질 [harmful substance, 有害物質] (환경공학용어사전, 1996.4, 성안당) [자료: 다음소셜매트릭스] 연관 탐색량으로 보는 유해물질 다음 소셜매트릭스로 살펴보면 사람들이 유해물질과 관련해 어떤 언급을 하고 있는 지 알 수 있는데요, 대부분이 '제품'과 연관되어있음을 알 수있습니다. 또한 제품, 성분등의 속성을 이외에 ..
사회서비스제공형 사회적기업이란? : 사회적기업의 목적이 취약계층에게 사회서비스(공익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일 때에는 ‘사회서비스제공형’사회적기업이다. (고용노동부 사회적기업메뉴얼) *사회서비스 : 개인 또는 사회 전체의 복지증진 및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사회적으로 제공되는 서비스 사회서비스제공형 사회적기업의 취약계층 범위의 특징 기본적으로 ‘일자리제공형’ 사회적기업의 취약계층과 동일하지만, 제공하는 서비스 특성에 따라 기존 취약계층 외에 조손가정, 외국인 근 로자, 금융채무 불이행자 및 저신용자(신용등급 7~8등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회서비스제공형 사회적기업 인증요건 사회적기업 인증요건은 전체 서비스 수혜자 중 취약계층 비율이 30% 이 상 돼야 하며 2013년 이후부터는 50% 이상 돼야 한다...
미세먼지란? 미세먼지란 우리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가늘고 작은 먼지 입자를 말합니다. 보통 지름 10㎛이하의 먼지를 말하는데요, 크기가 작아 사람의 폐포까지 침투할 수 있습니다. 황산염, 질산염, 암모니아 등의 이온성분과 금속화합물, 탄소화합물등의 유해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미세먼지는 서울과 같은 대도시의 경우 70% 이상이 자동차의 배기가스에서 나온다고 합니다. 미세먼지란? 이렇게 침투한 미세먼지는 각종 호흡기 질환의 직접적인 원인이 됩니다. 뿐만아니라 몸안에서 면역기능을 떨어뜨리기도 합니다. 미세먼지 규제현황 미국, 일본, EU의 환경기준은 PM 2.5이지만, 국내의 환경기준은 PM 10으로 관리를 하고있는 실정입니다.
이번에소개해드릴것은 TEDx Women 에서 수 오스틴이 휠체어를타고 스쿠버다이빙을 했던 이야기입니다. [원본영상 페이지] 16년 전, 휠체어를 타기 시작한 수 오스틴 오랜 병으로 인해 세상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이 바뀌게 되어 휠체어를 타기 시작했던 수오스틴은 휠체어로 인해 엄청난 새로운 자유를 얻을 수 있었다고 합니다. 이에대한 사람들의 냉담한 반응 수오스틴이 휠체어를 통해 새로운 즐거움을 찾았음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의 반응은 냉담했고, 이에대해 그녀는 마치 투명망토를 입은 것 같았다고 표현합니다. 휠체어에 대한 인상을 사람들에게 물어보면 '제한', '두려움', '연민' '제한'등의 단어를 사용 했다고 합니다. 그녀는 자신의 시각으로 자신을 보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의 반응을 통해 자신을 바라봐야..
* 일자리창출형이란 취약계층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한 목적으로 하는 형태이며전체 근로자 중 취약계층의 고용비율이 30%이상인 기업을 말합니다.(2013년부터는 50%로 변경) [일자리창출형 인증요건의 특징] 사업 특성상 취업취약계층을 주로 고용하지만 일반시장에서 영업활동을 통해 영리를 추구해온 청소․경비업체등의 상법상 회사는,취약계층의 단순 고용 이외에 복리후생 개선, 지역사회 재투자실적 등 별도 증빙이 있어야 인증 가능 재활용업종의 경우 별도의 사회적 목적 실현 실적이 필요한 지 여부는 단순 수거․판매로 취약계층 고용이 유리한 직종인지 중간 제조․가공으로 일정 전문성이 요구되는 직종인지 등을 사안별로 육성전문위원회에서 탄력적으로 판단 *사회적으로 고용환경이 가장 취약하다고 인정되는 특정 취약계..
사회적기업에서 추구하는 사회적 목적은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일자리 창출'과 '공익 서비스' 이렇게 두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사회적 목적아래 사회적기업을 유형화하여 분류한 것이 사회적기업의 5가지 유형입니다. 사회적기업의 유형 ① 일자리창출형 취약계층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한 목적으로 하는 형태이며전체 근로자 중 취약계층의 고용비율이 30%이상인 기업을 말한다.(2013년부터는 50%로 변경) ② 사회서비스 제공형취약계층에게 사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한 목적으로 하는 형태이며전체 서비스 수헤자 중 사회서비스를 제공받는 취약계층의 비율이 30%이상인 기업을 말한다.(2013년 부터는 50%로 변경) ①+② ③ 혼합형취약계층에게 일자리와 사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한 목적..
예비사회적기업과 사회적기업의 차이 예비사회적기업이란? 사회적기업이 추구하고자하는 사회목적을 실현하고 기업 활동을 수행하고 있지만, 인증요건에는 미흡한 기업에 대해예비사회적기업으로 지정하여 향후 사회적기업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예비사회적기업의 인증 사회적기업 인증은 고용노동부 장관이 하는 반면, 예비사회적 기업 인증은 지방자치단체 및 정부부처에서 지정합니다. [사회적기업과 예비사회적기업의 지원내용의 차이점 바로가기]
- Total
- Today
- Yesterday
- 인증요건
- 사회적기업의 개념
- 서비스디자인
- 컬러프로젝트
- 카카오톡
- 지원내용
- 지원방안
- 카카오톡에러원인
- 지식정보의공간
- 생활건강정보
- 복지정보
- SNS관리
- 사회적경제
- 사회적경제지식
- 휠체어바퀴
- 마포가온장에인자립센터
- 사회적기업 정의
- 한국휠체어기증본부
- 나는당신의 꿈
- 나는당신의꿈
- 도색
- 기초노령연금
- 카카오톡에러
- 핑크프레임
- 사회적기업 인증요건
- 아몬드나무
- 사회적기업
- B500
- 휠체어튜닝
- 고용노동부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